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관찰연구의 관찰기록 방법
    연구방법론 2023. 8. 1. 16:42

      관찰연구의 관찰기록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여기서는 일화기록법, 표본기록법, 그리고 체크리스트 활용법을 소개하여, 각 방법의 특성과 활용성을 간략히 설명하려고 합니다. 이러한 관찰 기록 방법들은 연구자가 관찰 대상의 행동을 정확하게 기록하고,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얻는 데에 도움을 주며,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고 신중한 관찰과 기록을 통해 관찰연구의 성공적인 결과 도출에 도움이 됩니다.


    일화기록법


      일화기록법은 관찰자가 특정 사건 또는 행동이 발생할 때마다 상세한 설명으로 관찰 내용을 기록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연구자가 관찰하는 대상의 행동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 묘사하여 기록합니다. 이는 행동의 순서와 시간적 흐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동물의 행동 연구에서는 일화기록법을 사용하여 특정 동물의 활동 패턴을 기록하거나, 유아의 플레이 동작을 연구할 때 해당 기법을 활용합니다.


      일화기록법은 연구자의 주관적인 표현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연구자들 간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규칙과 합의를 따라야 합니다. 또한, 관찰 대상의 행동을 즉시 기록해야 하므로 관찰자는 행동과 동시에 빠르게 기록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일화기록법에 따른 관찰 내용은 다음과 같이 기록될 수 있습니다. '2023년 8월 1일 오후 3시 15분, 연구실에 들어온 주체 A는 컴퓨터에 앉아 프로그래밍 작업을 시작했다. 소리 없는 작업이 진행되다가 3시 25분에 주변의 다른 연구원과 대화를 나누기 시작했다. 이후 5분 동안 업무 관련 이야기를 주고받았으며, 웃음소리가 자주 들렸다. 그리고 다시 작업에 집중하여 3시 35분까지 이어졌다. 그 후, 주체 A는 휴식을 취하면서 휴대폰으로 메시지를 확인했으며, 5분 후에 다시 프로그래밍 작업에 돌입했다. 이후 4시까지 업무를 집중하다가 일과를 마치고 연구실을 떠났다'.

     

      이 예시에서는 특정 주체 A의 일과가 시간의 순서대로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해당 예시를 통해 연구자는 주체 A의 업무 관련 행동과 휴식을 파악하고, 작업에 집중하는 데 걸리는 시간, 업무와 사회적 상호작용의 패턴 등을 분석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일화기록법은 관찰 대상의 행동과 활동을 정확하게 기록하여, 연구 분석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표본기록법


      표본기록법은 관찰 대상의 특정 기간 또는 특정 사건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관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전체 관찰 대상을 모두 기록하는 것이 어려울 때 또는 행동이 계속해서 발생하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긴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특정 행동을 기록할 때 표본기록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표본기록법은 확률 표본 추출 기법을 사용하여 관찰 대상에서 무작위로 일부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를 통해 전체 관찰 대상을 대표하는 표본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특정 행동의 발생 빈도를 추정하는 데 유용합니다.

     

      표본기록법을 사용한 관찰 기록은 아래와 같이 기록될 수 있습니다.

     

    2023년 8월 1일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 주체 B의 놀이 시간을 30분 간격으로 총 6번 기록하였습니다. 주체 B의 놀이 패턴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전 9시, 주체 B는 블록을 쌓는 놀이를 시작하여 20분 동안 집중하여 블록을 쌓았습니다. 놀이 중에 주변의 다른 아이들과 소통하지 않았습니다. 오전 9시 30분, 주체 B는 화면을 터치하는 디지털 놀이를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색칠 놀이를 즐겼으나 10분 후에 다른 놀이로 전환하였습니다. 오전 10시, 주체 B는 책장 앞에 앉아 그림책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15분 동안 책 내용에 몰두하며 얼굴 표정으로 이야기 내용을 따라가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오전 10시 30분, 주체 B는 인형 놀이를 하며 10분 동안 인형들끼리 상상 속 대화를 표현했습니다. 오전 11시, 주체 B는 캐릭터 블록을 사용하여 작은 구조물을 만들었습니다. 주변 아이들과 함께 놀이하며 대화하면서 시간을 보냈습니다. 오후 2시 30분, 주체 B는 물감으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그림을 그리는 데 약 25분 동안 집중하고, 작품을 완성하였습니다.

     

      이 예시에서는 주체 B의 놀이 시간을 표본기록법을 통해 6번 기록하였습니다. 각 시간대마다 어떤 놀이를 했으며, 그 놀이에 몇 분 동안 집중했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표본기록법은 관찰 대상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기록함으로써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면서도 대표적인 행동 패턴을 파악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체크리스트 활용법


      체크리스트 활용법은 관찰자가 특정 사건이나 행동이 발생할 때 미리 정해둔 목록에서 해당 사건이나 행동에 대한 항목을 체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대규모 연구나 여러 관찰 대상을 동시에 처리할 때 효과적입니다. 관찰자가 사건을 기억하고 기록하는 시간을 줄여주며, 통계적 분석에 용이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체크리스트를 작성할 때는 연구자가 관심 있는 행동이나 사건에 대한 목록을 미리 정리해야 합니다. 이 목록에는 관찰 대상의 행동, 반응, 또는 특정 사건의 유무 등을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체 C의 행동을 관찰하며 미리 작성한 체크리스트에서 해당 행동에 대한 항목을 체크합니다. 체크리스트에는 "웃음", "눈 깜빡임", "자극에 반응" 등의 항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관찰기록 방법들은 연구의 목적과 환경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여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방법은 장단점이 있으며, 연구의 목적과 관찰 대상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찰연구에서 정확하고 유의미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신중한 관찰과 기록이 필수적이며,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는 데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연구방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찰연구의 장점 단점 주의점  (0) 2023.08.03
    관찰자의 역할과 관찰자 훈련  (0) 2023.08.03
    관찰연구의 2가지 표집방법  (0) 2023.08.01
    관찰연구의 연구 절차  (0) 2023.08.01
    관찰 연구의 연구 유형  (0) 2023.07.31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