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관찰연구의 연구 절차
    연구방법론 2023. 8. 1. 15:38

      이 글에서는 관찰연구의 연구 절차를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수행하여,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얻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관찰연구는 연구 목적과 가설을 세우고, 적절한 관찰 대상을 선정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이후 관찰 내용과 자료 수집 방법을 구체화하며, 관찰자들을 효과적으로 훈련시켜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전 연구를 통해 연구 절차를 개선하고, 관찰자 간의 신뢰도를 분석하여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후 관찰과 자료 수집을 실시하며, 결과를 분석하여 패턴과 특성을 파악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관찰연구를 과학적이고 신뢰성 높은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관찰연구의 연구절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관찰연구의 연구절차
    관찰연구의 연구절차

    관찰연구의 연구 절차

    아래는 관찰연구의 일반적인 연구 절차입니다.

    1. 연구의 목적에 맞게 연구 가설을 수립합니다. 관찰연구는 특정 현상에 대해 이해하거나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기 때문에, 연구 목적에 맞는 가설을 세웁니다. 이 가설은 보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와 질문을 정의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예를 들어 연구 목적은 운동이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라면, 가설은 '정기적인 신체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인지 기능이 더 우수할 것이다'로 설정합니다.
    2. 관찰 대상을 선정합니다. 연구의 대상이 될 관찰 대상을 선택합니다. 이때, 연구의 목적과 가설에 부합하는 대상을 잘 고려하여 선정해야 합니다. 적절한 샘플을 선정하여 대상을 대표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선 예시를 따르면 연구 대상은 40세 이상의 성인으로 구성되며, 운동을 하는 그룹과 하지 않는 그룹으로 나눠 선정할 수 있습니다.
    3. 관찰 내용과 자료 수집 방법을 정합니다. 연구 목적과 가설에 따라 관찰할 내용과 데이터 수집 방법을 선정합니다. 이때, 관찰 대상의 행동, 특성, 상황 등을 어떻게 기록할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정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인지 기능은 기억력, 집중력, 문제 해결 능력 등으로 보고, 운동 여부에 따라 성능을 평가하는 정량적 테스트와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합니다.
    4. 관찰자들을 훈련시킵니다. 관찰자들은 연구의 목적과 관찰 내용, 데이터 수집 방법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훈련받아야 합니다. 일관된 기준으로 관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구자들은 테스트의 실시 방법과 기준을 표준화하고, 설문지의 내용에 대해 일관된 이해를 갖도록 훈련받습니다.
    5. 사전연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합니다. 실제 연구를 수행하기 전에 사전 연구를 통해 관찰 내용과 자료 수집 방법을 시험해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연구 절차를 개선하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보완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 연구 대상들을 대상으로 테스트와 설문지를 시행하여 실제 연구에 활용할 자료를 수집하고, 문제점을 수정합니다.
    6. 관찰자 내 신뢰도와 관찰자 간 신뢰도를 분석합니다. 관찰자들의 관찰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합니다. 관찰자 간에 일치하는 정도를 측정하고, 신뢰도가 낮은 경우 원인을 파악하여 개선합니다.
    7. 관찰의 불일치 분석 등을 통해 관찰된 내용과 기록한 방법, 자료화 방식 등을 설정합니다. 관찰의 불일치가 있는 경우, 관찰 내용과 기록 방법, 자료화 방식 등을 검토하고 개선합니다. 이를 통해 일관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8. 관찰자 재훈련을 실시합니다. 불일치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관찰자들에게 추가적인 훈련을 실시합니다. 이를 통해 관찰자들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일관성을 확보합니다. 불일치가 발견된 관찰자들에게 추가적인 훈련을 실시하여 관찰자들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9. 관찰 대상의 관찰 허가가 요구되는 경우 동의서 등 공식적인 승인을 얻습니다. 관찰 대상이 개인이나 기관 등일 경우, 관찰 허가를 얻어야 합니다. 동의서 등 공식적인 승인 절차를 거쳐서 관찰을 진행합니다. 동의서는 관찰 대상인 개인과 기관에게 받고, 승인은 해당 연구를 주관하거나 연구자가 소속된 기관에 신청하여 받습니다. 흔히 이를 'IRB 승인을 받는다'라고 하는데, 인간을 관찰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실시하기 전에 반드시 승인을 받도록 되어있습니다. 대개 한번 IRB 승인을 받으면 1년간 유효합니다.
    10. 관찰을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합니다. 연구 목적에 따라 관찰을 실시하고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데이터 수집은 관찰자가 주의 깊게 관찰하고 기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11. 관찰자 내, 관찰자 간 신뢰도를 검증합니다. 관찰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다시 한 번 검증합니다. 관찰자들의 일치도를 확인하고 문제가 있을 경우 개선합니다.
    12. 자료를 분석합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패턴이나 특성을 파악합니다. 기술적 통계 분석이나 내용 분석 등을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합니다. 예를들어, 수집된 자료를 통계 분석이나 내용 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여 운동 여부와 인지 기능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합니다.

     

    결론

     

      관찰연구는 현상을 이해하고 패턴을 파악하는 데에 중요한 도구로서, 체계적인 연구 절차를 따라 수행함으로써 더욱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연구의 목적과 가설을 세우고, 적절한 관찰 대상을 선정하는 것이 연구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를 위해 사전 연구를 통해 연구 절차를 검증하고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관찰자들의 훈련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일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여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관찰연구는 과학적이고 신뢰성 높은 방법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앞서 소개한 관찰연구의 일반적인 절차를 잘 숙지하시고, 관찰을 통해 훌륭한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로 거듭나시기를 바랍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