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오류와 유의 수준
    연구방법론 2023. 8. 4. 08:31

    오류와 유의 수준은 통계적 가설 검정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연구 결과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러한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에 기여합니다. 이제 '1종 오류와 2종 오류', '유의 수준의 설정과 해석', 그리고 '통계적 유의성과 실제적 유의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종 오류와 2종 오류


     1종 오류와 2종 오류는 통계적 가설 검정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1종 오류는 영가설이 참인데도 영가설을 기각하는 오류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의약품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영가설을 "이 의약품은 환자의 증상을 개선시키지 않는다"라고 설정하고, 유의 수준을 0.05로 설정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그 결과, 유의확률(p-value)이 0.03이 나왔기 때문에 영가설을 기각하고 "이 의약품은 환자의 증상을 개선시킨다"라고 결론 내리게 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 의약품이 증상을 개선시키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잘못된 결론을 내리는 것이 1종 오류입니다.


     반면, 2종 오류는 영가설이 거짓인데도 영가설을 채택하는 오류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치료법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영가설을 "이 치료법은 효과가 없다"라고 설정하고, 유의 수준을 0.05로 설정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그 결과, 유의확률이 0.1로 나왔기 때문에 영가설을 기각하지 못하고 "이 치료법은 효과가 있다"라고 결론 내리게 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 치료법이 효과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잘못된 결론을 내리는 것이 2종 오류입니다.



    유의 수준의 설정과 해석


    유의 수준은 가설 검정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기준값으로, 1종 오류를 범할 확률을 나타냅니다. 보통 0.05 또는 0.01과 같이 작은 값으로 설정되며, 연구자가 해당 연구에서 채택한 유의 수준 이상의 유의확률을 가지면 영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채택합니다. 이는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는데 도움을 줍니다.

    일반적으로 가설 검정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됩니다.

     

    먼저 가설 설정을 설정하는 단계입니다. 연구자가 문제에 대한 가설을 설정합니다. 이는 영가설과 대립가설로 나누어서 제시됩니다. 예를 들어서, 영가설이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라면 대립가설은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친다'로 세울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유의 수준을 설정합니다. 연구자는 연구의 목적과 특성에 맞게 유의 수준을 설정합니다. 일반적으로 0.05 또는 0.01을 사용합니다. 0.01의 유의 수준은 0.05의 유의 수준보다 엄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어떠한 가설이 0.01 수준에서 만족했다면, 0.05 수준에서도 만족한 것이 되는 것입니다.

     

    이후 단계에서는 표본을 추출합니다. 연구자는 적절한 표본을 추출하여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에도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전체 대상인 모집단에서 일부 표본 대상을 확률적 또는 비확률적으로 표집 하는 것입니다.

     

    다음 단계에서는 가설을 검정합니다.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여 가설을 검정합니다. 통계적 검정은 t-검정, F-검정, 카이제곱 검정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 수행하는 통계적 분석 방법들에 대해서는 별도의 포스팅으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가설 검정 이후에는 결과를 해석합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유의확률을 계산하고, 유의 수준과 비교하여 영가설을 기각하거나 채택합니다. 이를 통해 연구의 목적에 따라 결론을 도출합니다.

     

    유의 수준이 낮을수록 1종 오류를 범할 확률이 감소합니다. 하지만 유의 수준을 너무 낮게 설정하면 잠재적으로 중요한 효과를 놓치는 2종 오류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유의 수준은 연구의 목적과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통계적 유의성과 실제적 유의성


    통계적 유의성은 가설 검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개념으로, 표본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설을 평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통계적 유의성은 표본의 통계치가 무작위로 발생한 것인지 아니면 실제 모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반면, 실제적 유의성은 연구의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또한 실제적으로도 중요한 결과를 의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제적 유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있어도 실제적으로는 무의미하거나 무시해도 되는 결과일 수 있습니다.

     

    통계적 유의성과 실제적 유의성은 상호 보완적인 개념으로, 연구 결과를 해석할 때 이 둘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있다고 해서 항상 실제적으로도 중요한 결과를 의미하지는 않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신중하게 해석하여 실질적인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이 글에서 알아본 오류와 유의 수준, 통계적 유의성과 실제적 유의성은 가설 검정에서 핵심적인 개념으로서 연구 결과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연구의 목적과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가설 검정을 수행하고 결과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합리적인 결론을 도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오류와 유의 수준에 대해 다룬 이 글이 여러분의 연구 설계와 수행에 조금이나마 도움 되시기를 바랍니다.

Designed by Tistory.